안녕하세요. 건강알림마당 입니다.
올 여름 지속되는 폭염으로 체감온도는 무려 40도를 넘어가고 있는데요.
매년 여름, 전 세계적으로 기록적인 폭염이 발생하면서 40도를 웃도는 기온은 더 이상 낯설지 않습니다.
기후 변화로 인해 점점 더k길어지고 강해지는 폭염은 단순한 불편함이 아니라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재난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폭염이 무엇인지, 온열질환은 어떻게 예방해야 하는지, 그리고 실생활에서 반드시 실천해야 할 생존 수칙까지 폭염을 안전하게 극복할 수 있는 필수정보를 상세히 안내합니다.
폭염의 정의와 위험성, 반드시 알아야 할 증상 (폭염)
폭염은 일반적으로 일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날씨가 2일 이상 지속될 때 발효됩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35도, 40도까지 치솟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폭염의 정의도 더 강화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문제는 단순히 기온만 높은 것이 아니라 습도까지 높아지면 체감온도는 45도 이상으로 치솟아 사람의 신체가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 됩니다. 폭염은 인체의 체온조절 시스템을 마비시킵니다.
평소에는 땀을 통해 체열을 발산해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지만, 고온다습한 환경에서는 땀이 증발하지 않아 체내에 열이 축적됩니다.
이로 인해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열실신 등 다양한 온열질환이 발생합니다.
초기 증상으로는 두통, 어지럼증, 메스꺼움, 구토, 근육 경련 등이 나타납니다.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곧바로 시원한 장소로 이동하고 몸을 식혀야 합니다.
특히 의식이 흐려지거나 혼수상태에 빠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주변 사람과 함께 행동해야 하며, 필요하다면 즉시 119에 신고해 응급조치를 받아야 합니다.
폭염 경보가 발효되면 절대 무리한 야외활동을 피하고, 직사광선을 차단할 수 있는 챙 넓은 모자, 선글라스, 자외선 차단제를 필수로 사용해야 합니다.
물병과 전해질 음료를 휴대해 수시로 수분을 섭취하는 것도 기본입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폭염은 누구에게나 치명적일 수 있다’는 점입니다.
건강한 성인이라도 더위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위험하며, 어린이와 노인, 만성질환자는 더더욱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온열질환 예방법과 올바른 응급 대처법 (온열질환)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은 예방과 조기 대처가 생명을 구하는 핵심입니다.
폭염에 대비하려면 무엇보다 평소 충분한 수분 섭취가 기본입니다.
갈증을 느끼지 않더라도 15~30분 간격으로 물이나 이온음료를 조금씩 마셔야 합니다.
땀을 많이 흘렸다면 전해질 보충이 중요합니다. 물만 마시면 체내 염분이 낮아져 저나트륨혈증이 올 수 있으므로 스포츠 음료나 소금이 살짝 들어간 물이 좋습니다. 외출 전에는 기상청 폭염특보를 확인하고, 불가피한 야외 활동은 오전 이른 시간이나 해가 지는 저녁 무렵으로 계획하세요. 외출 시에는 통풍이 잘되는 밝은 색의 면 소재 옷을 입고, 땀이 잘 마르도록 여분의 옷을 준비하는 것도 좋습니다. 만약 열사병이 의심되면 즉시 그늘이나 냉방이 잘 되는 실내로 이동하고, 옷을 느슨하게 풀어주며 시원한 물수건으로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 큰 혈관이 지나는 부위를 집중적으로 식혀야 합니다.
의식이 떨어지면 혼자 두지 말고 곧바로 119에 연락해야 합니다.
얼음팩이나 찬물 샤워도 좋은 방법이지만, 고령자나 어린이에게는 저체온증이 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주변의 관심입니다. 독거노인, 노약자, 거동이 불편한 이웃이 있다면 폭염 기간 동안 수시로 안부를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무더위 쉼터나 보건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안내하세요.
폭염 생존을 위한 필수 생활수칙과 실천팁 (생존)
폭염 속에서 안전하게 살아남기 위해서는 평소 생활습관을 바꾸는 것이 중요합니다.
첫째, 낮 12시에서 오후 5시까지는 야외활동을 자제해야 합니다.
이 시간대에는 햇볕이 가장 강해 자칫 열사병에 쉽게 노출됩니다.
실내에서는 냉방 기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세요. 에어컨은 26도 정도로 설정하고, 선풍기나 서큘레이터를 함께 돌려 공기를 순환시키면 냉방 효율이 높아집니다.
전기료가 걱정된다면 커튼이나 블라인드로 햇빛을 차단하고, 낮 동안 창문을 닫아 외부 열기가 들어오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취침 전에는 미지근한 물로 샤워해 체온을 낮추면 숙면에도 도움이 됩니다. 물에 적신 수건을 몸에 얹거나, 얼음팩을 수건에 싸서 목 뒤에 대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외출할 때는 반드시 물병을 휴대하고, 자주 마시며 땀을 닦을 손수건과 선크림도 잊지 마세요.
장시간 외출이 필요하다면 이동 경로에 무더위 쉼터가 있는지 확인하고, 긴급 시에는 가까운 편의점이나 공공건물을 활용해 더위를 피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도 폭염 피해를 입기 쉽습니다. 낮에는 산책을 피하고, 신선한 물을 충분히 주며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머물도록 해야 합니다. 차 안에 두는 것은 절대 금물이며, 5분 만에 차 내부 온도가 50도 이상으로 올라갈 수 있으므로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폭염 관련 정보는 기상청 홈페이지나 지역 행정안전부 알림 서비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하세요. 스마트폰에 폭염 특보 알림을 설정해두면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도 빠르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폭염은 매년 반복되지만 그 위험성은 결코 가볍게 넘길 수 없습니다.
사전에 준비하고 작은 생활수칙만 지켜도 나와 가족, 이웃의 생명을 지킬 수 있습니다.
이번 여름, 충분한 수분과 그늘을 곁에 두고, 무더위 쉼터와 폭염 알림을 적극 활용해 모두가 안전하고 건강한 여름을 보내길 바랍니다.